'이재명 연임제 개헌' 논란... 김문수 "장기집권 여지 밝혀라"
🧭 김문수 후보의 핵심 주장
1. '연임제' 용어 사용에 대한 우려
김문수 후보는 이재명 후보가 사용한 '연임제'라는 표현이 장기집권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위험한 표현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연임제가 중임제보다 장기집권으로 이어질 수 있는 여지를 더 많이 남긴다고 강조했습니다.
2. 러시아 푸틴 대통령 사례 언급
김 후보는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이 연임제를 이용해 장기집권을 해온 사례를 언급하며, 유사한 정치적 구조가 한국에서도 반복되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3. '권력 내려놓기 개헌협약' 제안
김 후보는 대선 후보 간 '권력 내려놓기 개헌협약'을 맺자고 제안했습니다. 이 협약은 대통령 임기 단축, 4년 중임제 도입, 불소추특권 폐지 등을 포함합니다.
🔍 '연임제'와 '중임제'의 차이점
구분 | 연임제 | 중임제 |
---|---|---|
정의 | 연속하여 2회 임기 가능 | 재선 1회만 가능 (총 8년 제한) |
장기집권 가능성 | 일정 기간 후 재출마 가능 | 장기집권 방지 |
사례 | 러시아 푸틴 대통령 | 미국 대통령 제도 |
🗳️ 정치권의 반응
국민의힘
국민의힘은 이재명 후보의 개헌 제안에 대해 강력한 비판을 제기하며, 장기독재로 가기 위한 장치라고 주장했습니다.
진보 진영
진보 진영에서는 정치 개혁의 일환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선거 제도 개선과 연계된 개헌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 여론 동향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가 49.3%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김문수 후보는 25.1%의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개헌 논의는 대선 정국에서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 김문수 후보는 이재명 후보의 연임제 개헌 제안이 장기집권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다고 경고하며,
명확한 해명과 함께 중임제로의 전환을 촉구했습니다.
개헌 논의는 앞으로의 대선 국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newsis.com, khan.co.kr, ajunews.com
국민의힘 "이재명 개헌안은 장기독재 선포…푸틴식 재림 가능"(종합)
[서울=뉴시스] 정윤아 한재혁 하지현 기자 = 국민의힘은 18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대통령 4년 연임제와 결선투표제 도입을 골자로 한 개헌 구상을 공개하자 "장기집권의 야욕을 드
www.newsis.com
‘개헌’ 꺼낸 이재명에 김문수 “불소추특권 폐지·임기 단축 협약 맺자” 역제안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8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개헌 제안에 대해 대통령 불소추특권 완전 폐지 등을 역으로 제안하며 “권력 내려놓기 개헌협약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www.khan.co.kr
진보 정당들 李 개헌 제안 환영…김문수 장기 집권 여지 밝혀야 | 아주경제
조국혁신당 등 진보 진영 정당들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대통령 4년 연임제 등을 골자로 한 개헌 공약을 제시한 것에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김선...
www.ajunews.com
'정치 공간 > 정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vs 김문수, '경제 성장 책임' 두고 치열한 설전... 대선 후보 토론 쟁점 부상 (13) | 2025.05.19 |
---|---|
'내란 동조' 논란 안창호 인권위원장, 45주년 5·18 기념식 참석 무산 (9) | 2025.05.19 |
이재명과 김문수 발언으로 본 외교·통상 전략의 방향성, 친중안돼 vs 한미일 협력 몰빵 안돼 (7) | 2025.05.19 |
한동훈, 김문수 지원 시동…“현장에서 국민 만날 것” (22) | 2025.05.17 |
국민의힘 김문수, 5·18 민주묘지 참배 후 눈시울 붉혀 (16) | 2025.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