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내란 동조' 논란 안창호 인권위원장, 45주년 5·18 기념식 참석 무산
📍 사건 개요
2025년 5월 18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5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은 시민들의 강력한 항의에 부딪혀 기념식에 참석하지 못하고 철수했습니다.
안 위원장은 오전 9시 36분 경찰의 경호를 받으며 도착했으나, ‘민주의 문’ 앞에서 기다리던 시민 200여 명의 항의에 가로막혔습니다. 이들은 “여기가 어디라고 오느냐”, “내란 동조자가 왜 기념식에 오느냐”는 등의 구호를 외쳤습니다.
결국, 안 위원장은 도착 9분 만에 현장을 떠났으며, 기념식 공식 행사에는 참석하지 못했습니다.
🔍 시민사회의 반발 배경
안 위원장을 향한 반발은 최근 인권위가 내란 혐의로 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방어권을 보장하는 결정을 내리며 더욱 심화됐습니다. 시민사회는 이를 두고 “12·3 내란 사태에 동조하는 태도”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5·18 유족회와 민주화단체들은 공동성명을 통해 안 위원장의 기념식 참석에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혔으며, 그의 사퇴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 주요 구호 및 현장 반응
- “민주묘지에 발도 들이지 마라”
- “5·18을 모욕하는 자의 기념식 참석을 용납할 수 없다”
- “인권위원회가 인권을 배반했다”
📌 인권위의 입장
국가인권위원회는 사건 이후 입장문을 통해 “위원장의 기념식 참석은 순수한 추모의 뜻이었다”고 해명했습니다. 그러나 시민사회와의 간극은 쉽게 좁혀지지 않고 있으며, 향후 위원장의 거취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 정치권 반응
여당과 야당은 엇갈린 반응을 보였습니다. 일부 보수 인사들은 “표현의 자유가 지나치다”며 시민사회의 행동을 비판했으며, 진보 진영은 “기념식의 역사성과 순수성을 지키기 위한 정당한 저항”이라고 평가했습니다.
🔚 이번 사건은 단순한 행사 불참을 넘어, 한국 사회에서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어디까지 수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안창호 위원장의 향후 거취, 인권위의 신뢰 회복,
그리고 5·18 정신을 둘러싼 사회적 논의가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정치 공간 > 정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선 첫 토론서 쟁점화된 '美 관세'... 이재명 "조기 타결 불필요" vs 김문수 "7월 8일 전 끝낼 것" (12) | 2025.05.19 |
---|---|
이재명 vs 김문수, '경제 성장 책임' 두고 치열한 설전... 대선 후보 토론 쟁점 부상 (14) | 2025.05.19 |
'이재명 연임제 개헌' 논란... 김문수 "장기집권 여지 밝혀라" (13) | 2025.05.19 |
이재명과 김문수 발언으로 본 외교·통상 전략의 방향성, 친중안돼 vs 한미일 협력 몰빵 안돼 (8) | 2025.05.19 |
한동훈, 김문수 지원 시동…“현장에서 국민 만날 것” (24) | 2025.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