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인투셀 공모주 청약 분석: ADC 기술의 미래와 투자 포인트

기업 개요

인투셀은 항체-약물접합체(ADC) 분야의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는 바이오 기업으로, 독자적인 링커-페이로드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ADC는 항체의 표적성과 약물의 세포독성을 결합한 차세대 항암제로 주목받고 있으며, 인투셀은 OHPAS 플랫폼 기술을 통해 ADC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PMT 플랫폼 기술을 통해 약물이 정상세포로 흡수되는 것을 줄이는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공모 개요 및 일정

  • 시장구분: 코스닥
  • 공모주식수: 1,500,000주 (100% 신주모집)
  • 희망공모가: 12,500원 ~ 17,000원
  • 공모금액: 약 187.5억 원 ~ 255억 원
  • 수요예측일: 2025년 4월 29일 ~ 5월 8일
  • 청약일: 2025년 5월 13일 ~ 5월 14일
  • 환불일: 2025년 5월 16일
  • 상장일: 2025년 5월 23일 예정
  • 주간사: 미래에셋증권

인투셀은 2025년 4월 29일부터 5월 8일까지 수요예측을 진행하였으며, 5월 13일부터 14일까지 일반 청약을 받습니다. 공모가는 희망 범위 내에서 결정될 예정이며, 상장일은 5월 23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재무성과 분석

인투셀은 현재까지 상업화된 제품은 없으며, 연구개발 단계에 있습니다. 2024년 기준 매출액은 약 29억 원이며,

당기순손실은 약 99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바이오 기업의 특성상 연구개발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ADC 기술의 성장 가능성과 인투셀의 독자적인 플랫폼 기술을 고려할 때, 향후 수익성 개선이 기대됩니다.

공모가 적정성 분석

인투셀의 희망공모가 밴드는 12,500원에서 17,000원으로 설정되었으며,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은 약 1,854억 원에서 2,521억 원 수준입니다.

 

이는 ADC 기술의 성장성과 인투셀의 플랫폼 기술 가치를 반영한 결과로 보입니다.


투자 매력 포인트

  • ADC 분야의 독자적인 플랫폼 기술 보유
  •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업 가능성
  • 기술특례상장을 통한 성장 잠재력 부각
  • 구주매출 없음으로 기존 주주의 이익 실현 우려 없음

 

유의할 점

  • 상장 후 유통가능 물량이 36.34%로 다소 높은 편
  • 현재까지 상업화된 제품 없음
  • 연구개발 단계로 인한 지속적인 적자 상태
  • 바이오 산업의 특성상 임상 실패 등의 리스크 존재

청약 전략 제안

  • ADC 기술의 성장성과 인투셀의 플랫폼 기술 가치를 고려한 중장기 투자 전략
  • 공모가 범위 내에서의 적정 가격 판단 필요
  • 청약 증거금 및 청약한도는 주간사인 미래에셋증권을 통해 사전 확인 필요

인투셀은 ADC 분야의 독자적인 플랫폼 기술을 보유한 바이오 기업으로,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현재까지 상업화된 제품이 없고 연구개발 단계에 있는 점은 투자 판단에 있어 유의해야 할 부분입니다. 투자자들은 수요예측 결과와 공모가 확정 후 청약에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반응형